Solidity

입문자 대상 블록체인 강의 추천 | 블록체인 개발자 Karin 인터뷰

#블록체인 강의 #패스트캠퍼스 블록체인 #Solidity


블록체인 시장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시중에 블록체인 개발 관련 강의들이 하나둘 생겨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 막 성장기에 접어든 시장인만큼 관련된 뚜렷한 가이드맵, 학습 자료가 없어 궁금증을 가진 분들도 많이 계실 것 같은데요.

이런 고민을 해결해드리고자 금번 입문자 대상의 블록체인 강의를 런칭하신 블록체인 개발자 Karin님과 이야기를 나누어보았습니다.


Q. 안녕하세요. 먼저 간단히 강사님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패스트캠퍼스와 함께 [Solidity로 시작하는 이더리움(EVM) 기반 블록체인 개발 A to Z] 강의를 맡게된 Karin입니다!
저는DeFi 거래소에서 Rust 개발자로 근무하고 있어요! 이외에 Crypto.js 그룹장으로 암호학 연구 중에 있답니다.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Karin

[블록체인 개발자 Karin]

Q. 패스트캠퍼스 블록체인 강의인 [Solidity로 시작하는 이더리움(EVM) 기반 블록체인 개발 A to Z]를 런칭하시게 된 계기가 있으실까요?

블록체인 개발 분야 학습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부터 막막해 하는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저 또한 거래소를 처음 개발할 때 그리고 Solidity를 배울 때 문법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배워야할지에 대해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와 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강의를 통해 쉽게 이해하고 학습해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기 위해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더불어 저도 많은 학생 분들을 이해시키기 위해 같이 노력하고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거치기 위해 이번 패스트캠퍼스 블록체인 강의를 런칭하였습니다.

Q. 금번 강의의 기획 의도를 한 마디로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하나라도 더 깨우칠 수 있게!”

금번 패스트캠퍼스 블록체인 강의는 여러분들이 블록체인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에서 하나라도 더 깨우칠 수 있도록 다방면의 분야로 커리큘럼을 구성하였습니다. 컴퓨터 기초 공학이 어떻게 블록체인에 적용되었는지부터 Solidity 기초 이론, 그리고 활용을 위한 폴리곤 기반 NFT사이트 제작까지 다뤄봅니다. (폴리곤 민팅 사이트)

바이낸

[바이낸스 NFT 페이지 구현]

또한 바이낸스 NFT 사이트를 클론하며 한번 더 기초를 복습합니다. 추가로 ‘웹 하나를 4시간안에 만들기’라는 과제를 통해 여러분이 본 강의를 통해 하나라도 더 얻어갈 수 있게끔 할 예정입니다. 더불어 TS/ JS 기본 문법과 응용-해시 논스를 사용한 미니 프로젝트 / 클라이언트 서버 통신 실습과 같은 블록체인과 기존 개발을 이용한 활용단도 넣었습니다. 다음으로 가장 어렵지만 실용적인 부분이 ‘거래소’ 파트입니다. 앞서 배운 내용들을 바탕으로 거래소를 클론코딩할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암호학의 역사, 암호학 개발 , 비트코인 토큰 간단 실습까지하고 블록체인 강의가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Q. 금번 강의 [Solidity로 시작하는 이더리움(EVM) 기반 블록체인 개발 A to Z]는 블록체인 개발 필수 언어인 Solidity의 기초 이론부터 블록체인 DApp 개발까지 다루는 입문자 대상의 강의라고 말씀주셨는데요! 강의 커리큘럼에 대하여 조금 더 상세히 설명 가능하실까요?

“블록체인에서 안해본게 없게 하라!”

금번 강의는 약 80시간의 초격차 블록체인 강의로 블록체인 개발 분야에서 안해본 학습 영역이 없도록 모든 분야를 커버하는 입문자 대상으로 구성한 커리큘럼의 강의라고 보시면 됩니다. 주요 커리큘럼은 아래 같은데요.

[주요 커리큘럼]

- 블록체인 컴퓨터 기초 공학
- 솔리디티 문법에서 폴리곤까지(민팅 사이트)
- 웹 기초 + JS+TS기초로 블록체인 적용 (바이낸스 NFT사이트)
- 코인O 거래소 만들기(Cex 거래소)
- 블록체인 보안(암호학 기초 개발 및 비트코인 개발)

제가 맡은 언어는 Solidity / html / css / js / js Library / node.js / ts / py 입니다.
또한 기초 공학 / 블록체인 언어 / 블록체인 플랫폼 적용 / 블록체인 보안 부분을 맡았습니다.

Q. 굉장히 풍부한 커리큘럼인 것 같네요! 시중에 블록체인 개발 관련 강의들과 비교해서 본 강의의 차별화된 포인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첫 번째로는 커리큘럼적인 측면으로, 블록체인 개발 관련 강의에서 이처럼 Deep하고 다채로운 커리큘럼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두 번째로는 본 강의의 가장 큰 핵심포인트라고도 말할 수 있는 부분은 “블록체인 포트폴리오를 모두 챙겨갈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반 웹개발 (프론트엔드/백엔드)뿐만아니라 ‘블록체인 스택’까지 만들어주는 포트폴리오라면 전 당연히 수강을 결정할 것 같네요ㅎㅎ

블록체인 개발 강의

세 번째로는 기초 블록체인 뿐만 아니라 금융의 꽃인 거래소를 만들고, 핫한 거래소인 바이낸스 NFT 사이트와 폴리곤을 웹개발 적용하는 것까지는 사실상 최초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담이지만, 시중에 거래소 제작 비용을 천차만별로 받는 것으로 아는데요, 기본 원리만 안다면 누구나 만들수 있고, 사업화로 수익화까지 갈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추가적으로 어떤 블록체인 강의든 기초 강의는 지루하고 듣기 싫을 수 밖에 없는데요. 기초가 듣기 싫으신 분들은 ‘웹 기초 과제, ‘폴리곤 NFT 페이지 제작’, ‘바이낸스 NFT 페이지 제작’, ‘거래소 클론코딩’ 중 2개 정도만 제대로 할 줄 알아도 “개발 해봤다”라고 말할 수 있으실겁니다. 그래도 기초를 모르는 개발은 뼈대가 없는 개발이기 때문에 무너졌을 때 처리를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웬만하면 기초를 철저히 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입니다.


Q. 그렇다면 강사님이 준비하신 금번 강의가 어떤 분들께 도움이 될지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본 강의는 Solidity 언어의 기초를 학습하고 싶은 분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자(프론트엔드/백엔드)의 기초/기본기를 알고 싶은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블록체인 관련 인사이트 뿐만 아니라 개발에서 다루는 모든 언어를 대부분 다룬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Q. 앞으로 블록체인 개발 분야가 얼마나 더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하시는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Web3는 업계에서 이미 많이 이슈화 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블록체인 기반의 Web 탄생을 시초로 우리의 주체적인 삶까지 흔들어 놓을 것이란 생각이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블록체인 공부 순서

그만큼 앞으로 개인을 위한 플랫폼이 많이 생길텐데 인터랙션의 편리성 뿐만 아니라 보안까지도 많이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요즘은 클라우드가 잘 구축되어 있어서 이 변화가 당장 일어나진 않을 것이지만, 클라우드의 독점이 문제가 되는 시기가 올 때 분산 클라우드 기반인 블록체인으로 또 한번 넘어오는 계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란 추측을 해봅니다.

Q. 이 강의를 통해 수강생들이 어떤 인사이트를 얻어갈 수 있을지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금번 블록체인 강의는 블록체인을 아예 모르더라도 완강을 하고나면 블록체인 생태계에 대한 대략적인 윤곽이 잡힐 수 있는 강의입니다. 수많은 실습과 프로젝트로 5개 이상의 포트폴리오를 챙길 수 있는 것은 덤이죠! 블록체인, 거래소 관련 취업준비생이라면 본 강의에서 만든 프로젝트를 포트폴리오로 쓸 수 있으실거예요.

그리고 기존에 블록체인 생태계를 어느정도 알고 있었더라도 약간의 혼동이 있었다면 각각의 언어 스택으로 전문 분야가 다른 개발자분들의 강의를 들으면서 블록체인 기초를 빌드할 수 있는 강의가 될 것입니다.

Q. 마지막으로 블록체인 개발자로서 실무 역량을 쌓고자 하는 분들에게 해주실만한 조언이 있으실까요?

저는 기업이나 개인 데이터 보안 분야에서 오랜 기간 근무하였고, 직접 거래소를 만든 경험이 있는데요! 블록체인 데이터들이 어떻게 관리되는지 알려면 개발단을 이해해야 합니다. 따라서 토큰 원리를 개발해보고 그것들이 어떻게 민팅되는지까지 (서비스단) 직접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죠!

블록체인 공부 순서

결국 우리가 입사하고 싶은 곳은 블록체인 토큰을 기반으로 블록체인 플랫폼을 만들거나, 유지보수할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단한 ‘블록체인 원리'에 대해 개발하며 이해하고, 선호하는 언어, 선호하는 네트워크를 선택해 그것을 파보는 것도 중요하다는 생각이예요.

더불어 각 네트워크별로 하루에 얼마나 많은 유저들이 진입하는지 돌아보는 분석 후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 보안이 이루어지는지 분석하며 단순 개발뿐만아니라 시장의 동태를 분석하고 예견할 수 있는 선구자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여러분의 성공적인 블록체인 개발 학습을 응원할게요! 그럼 강의에서 만나요 :)

▲ 클릭해서 강의 보러가기 ▲


지금 패캐머들이 읽고있는 BEST 아티클이 궁금하다면

이 글과 연관된 주제의 추천 강의